2025 재보궐선거 총정리
투표는 선택이 아니라, ‘책임’입니다
2025년 4월 2일, 전국 23개 지역에서 재·보궐선거가 실시됩니다.
투표 일정, 지역별 후보, 사전투표부터 본 투표 절차까지 한눈에 정리해 드립니다.
📌 내 투표소 찾기, 개표 시간까지 모두 담았어요!
📅 2025 재보궐선거 주요 일정
구분 | 내용 |
---|---|
사전투표 | 3월 28일(금) ~ 3월 29일(토) 오전 6시 ~ 오후 6시 |
본 투표 | 4월 2일(수) 오전 6시 ~ 오후 8시 |
개표 시작 | 4월 2일 투표 종료 직후 |
예비후보 등록 | 단체장/지방의원: 2024년 12월 20일부터 군수/군의원: 2025년 1월 19일부터 |
후보 등록 | 2025년 3월 13일 ~ 3월 14일 |
선거운동 | 2025년 3월 20일 ~ 4월 1일 |
🏙️ 선거가 실시되는 지역
- 교육감 : 부산광역시
- 기초단체장 : 서울 구로구, 충남 아산시, 경북 김천시, 경남 거제시
- 광역의원 : 대구 달서구, 인천 강화군, 대전 유성구, 경기 성남시·군포시, 충남 당진시 등
- 기초의원 : 서울 동작구·마포구, 전남 광양시·담양군·고흥군, 경북 고령군, 경남 양산시
🗳️ 투표 방법 & 준비물
✅ 사전투표
- 누구나 주소지 상관없이 투표 가능 (전국 사전투표소)
- 필수 준비물: 주민등록증, 운전면허증, 여권 등
- 모바일 신분증 가능: PASS앱, 카카오지갑 등 (캡처 불가)
✅ 본 투표
- 지정된 투표소에서만 가능 (주소지 기준)
- 투표소는 ‘투표안내문’ 또는 중앙선관위 투표소 찾기에서 확인
📍 유권자 Q&A
Q. 사전투표를 하면 본 투표는 못 하나요?
✔ 네! 한 번만 투표 가능하며, 사전투표 후엔 본 투표 참여 불가합니다.
Q. 모바일 신분증 써도 되나요?
✔ 가능합니다. 단, 앱 실행 화면으로 본인 인증이 돼야 합니다.
Q. 사전투표와 본 투표, 어디가 더 편하죠?
✔ 스케줄 여유 있다면 사전투표 추천! 평일보다 비교적 한산해요.
Q. 거소투표는 누구에게 해당되나요?
✔ 병원·요양시설에 거주하거나 장애 등으로 외출 어려운 분 → 3월 15일까지 신청 가능!
Q. 선거 안 하면 불이익 있어요?
✔ 법적 불이익은 없지만, 지역 정책 결정에 영향력 없는 유권자가 될 수 있습니다.
💡 마무리한 줄
국민의 권리는 투표로 완성됩니다.
2025년 4월 2일, 우리 지역을 위한 소중한 한 표, 절대 놓치지 마세요! 🗳️
댓글